예술인 구독 신청
닫기
구독신청
메뉴바
vol.10 2017. 1 로고

예술인복지뉴스

칼럼 작가 김지승

약자 속 약자를 향한 시선으로

2017. 1
-

2016년 마지막으로 본 영화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였다. 제69회 칸 영화제에서 ‘노동계급의 시인’이라 불리는 켄 로치 감독에게 두 번째 황금종려상을 안긴 작품이었다. 당시 수상 소감(보다는 연설에 가까웠다)에서 감독은 영화를 통해 하고 싶었던 이야기를 에두르지 않고 밝혔다. “우리는 무엇이든 할 수 있으며, 다른 세계 또한 가능하고 필요하다고 외쳐야 한다”고. 멀리 칸에서 전해진 이 말을 어쩌다 들은 사람도, 켄 로치의 영화에 전혀 관심이 없던 사람도 지난해 광장에서 촛불을 들고 ‘가능한 다른 세계’를 갈구했다. 노장의 역설은 이 땅에서 매주 놀라운 광경으로 실현되었던 셈이다. 그래서일까. 새해를 맞는 풍경이 늘 그렇듯 어수선하면서도 사이사이 이전보다 신중한 바람과 변화의 의지가 느껴진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영국 복지제도에서 소외당한 노동자, 다니엘 블레이크와 사람들의 연대를 보여준다. 영화 초반 복지사와 블레이크의 대화를 통해 우리는 개인이 어떻게 제도 밖으로 밀려나는지 목격하게 된다. 그러다 문득 복잡한 감정이 든다. 감독 특유의 건조한 비판 대상이 되는 것이 영국의 복지제도라는 사실을 떠올리면 그렇다. 영국은 ‘복지국가’라는 명칭을 처음 쓴 곳이며, 오늘날의 많은 복지제도가 모태로 삼는 시스템을 가진 나라가 아닌가. 그러니까, 97년 이전까지는 대학 등록금이 무료였으며(대학 학비 무료 정책을 다시 시행할 예정이라고), 전 국민이 지역별로 소속 병원을 가지고 검사와 치료를 무료로 받고, 법정 공휴일까지 연 28일 휴가를 언제든 이어서 쓸 수 있고, 초음파를 비롯한 출산까지의 진료비를 지원해주는 나라의 복지제도인 것이다. 물론 완벽한 제도란 없고, 영국에 잠시 체류했을 때 만난 영국인들 중 자기네 복지제도의 문제점을 언급하지 않는 사람이 거의 없을 정도여서 취약 부분을 모르지 않는다. 다만 논의의 수준이 달랐다. 제도 자체보다 시민 개개인이 자기 계급과 관련한 제도에 관심을 갖고 비판하고 의견을 낼 수 있는 그 기반은 큰 힘인 듯했다.

영화에서도 그 힘을 느꼈다. 건강상의 문제로 일을 할 수 없는 사람, 컴퓨터를 다루지 못하는 사람, 늙고 혼자인 사람, 홀로 아이 둘의 양육과 생계를 책임져야 하는 사람, 낮은 시급으로 생계를 이어갈 수 없는 사람 등 기계적인 제도 바깥으로 밀려나 생존과 존엄을 위협받는 이 영화 속 인물들은 우리에게 결코 낯설지 않다. 가까이 어디에나 있고, 내 이웃이며, 친구이고 바로 나이기도 하다. 그래서 가까이 손을 뻗어 잡을 만도 한데, 대개 우리의 손은 어디로도 뻗지 못하고 주머니 속에서 홀로 주먹을 쥐고 있다. 손을 내미는 것도, 내민 손을 잡는 일도 당장의 생존 앞에서 요원한 일이 되고 만다. 그 순간 다니엘 블레이크의 선택은 달랐다. 선뜻 손을 내밀고 할 수 있는 일을 한다. 포기하지 않는다. 그러자 또 다른 사람이 다니엘 블레이크의 손을 잡는다.

다니엘 블레이크가 손을 내민 사람이 두 아이를 키우며 생계와 꿈을 아슬아슬하게 붙잡고 있는 싱글맘, 케이티라는 설정은 제도 밖으로 밀려난 이들 중에서도 약자인 여성 문제에 대한 감독의 인식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말하자면 약자 속의 ‘더 약자’를 향한 시선. 그래서 주인공 못지않게 케이티는 내게 중요한 인물로 다가왔다. 케이티가 처한 상황, 갈등과 선택은 계속 위태로워 보였다. 지금 이곳의 나처럼. 제도권 밖 비혼 여성인 내가 당사자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문제였으므로, 약자 속 약자를 향한 섬세한 시선을 기대하며 몰입했다. 그러나 여성의 몸을 보는 사회적 시선, 궁지에 몰린 여성의 선택, 그 선택에 대한 남성의 윤리적 평가가 뒤범벅된 케이티의 짧은 서사는 기대만큼 섬세하지 못했다. 겹겹의 억압이 작동하는 여성의 가난을 보편적으로 이해받기란 여전히 어렵다는 걸 새삼 확인한 듯했다. 장애인의 가난, 성 소수자의 가난, 아이들의 가난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약자 속 ‘더 약자’들의 삶과 그 특수성에 대해 같은 약자 역시 무지할 수 있음을 기억해야만 한다. 그래서 더 주의 깊고 세심한 시선이 요구된다는 것도. 다니엘 블레이크가 보여주는 존엄을 위한 싸움과 연대는 분명 감동적이었고, 그 정도면 충분하다고 말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그래도 우리는 더 많은 손을 잡을 수 있길 기대하는 동시에 그 손이 어떤 약자의 것인지 한 겹 더 이해하는 게 가능하고 필요하다고 외칠 수 있다.

『사람, 장소, 환대』는 이와 관련한 따뜻한 사유를 건넨다. ‘사회적 성원권’, ‘환대’ 등의 문제를 연구해온 인류학자 김현경이 쓴 이 책은 세 가지 키워드인 사람, 장소, 환대가 어떻게 맞물리며 서로를 지탱해 사회를 이루는지 분석한다. 특히, 우리는 환대에 의해 사회 안으로 들어가 사람이 된다는 것, 사람이 된다는 것은 장소(자리)를 갖는다는 것이라는 정의에는 낯선 감동이 있다. 환대란 타자에게 자리를 주는 행위이자, 사회 안에 있는 그의 장소(자리)를 인정하는 행위라고 저자는 말한다. “어떤 사람이 인류 공동체에 속해 있음을 인정하는 행위”, “그가 사람으로서 사회 속에 현상하고 있음을 몸짓과 말로써 확인해주는 행위”인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절대적 환대가 가능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어떤 경우에도 한 개인의 사람 자격을 부정하지 않는 환대. 가난해도, 나어려도, 여성이어도, 장애인이어도, 성 소수자여도, 인종이 달라도.

저자의 주장은 여전히 환대받지 못하고 자리를 갖지 못하는 이들을 따뜻하게 호명한다. 그런 이들에게 청소년 쉼터, 미혼모 자립센터, 성폭력 상담, 주거수당, 실업수당, 사회보험료 등을 제공하는 것이 곧 환대의 형식이다. 마찬가지로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의 창작준비금 지원, 예술인 산재보험, 시간제 보육지원 등의 복지사업은 예술인에 대한 환대이며 자리 인정이다. 환대가 구조적으로 복지와 공공성에 대한 논의로 연결된다면, 개인적으로는 다양한 연대 방식을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약자, 더 취약한 계층과 성별의 자리를 인정하고 소외되지 않도록 살피는 연대를 통해 우리는 타자를 환대할 수 있다. 환대받게도 된다.

2017년 새해를 맞았다. 해결되지 않은 고민들이 여전히 첨예하다. “모든 인간의 존엄성을 주장하면서도, 구조적 차원에서는 사람들에게서 자신의 존엄을 지킬 수단을 빼앗”고 가난과 무능, 상처까지도 개인의 잘못으로 돌리는 사회에서 예술인들은 어떻게 존엄을 지키고 예술 작업을 이어나갈 것인가. 더불어 누구나, 더 많은 사람이 환대를 받고 장소를 가질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책임과 권리를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 전 세계적으로 작동하는 약자와 소수자에 대한 배제와 낙인을 어떻게 거부하고 연대할 것인지도 계속 이야기해야만 한다. 예술인들은 늘 그들과 연대해왔고, 자주 바로 그 당사자였다. 구조적 문제를 향해 비판의 날을 거두지 않는 한편, 개인 간 새로운 연대 방식을 찾을 수 있길 바란다. 예술을 통해 환대의 장을 넓힐 수도 있을 것이다. 약자 속 약자를 향한 섬세한 시선으로, 예술의 방식으로.

  • 작가 김지승 작가, 에디터
    비영리 단체들의 소식지, 웹진 등의 에디터로 활동하며 다양한 매체에 다른 이름으로 글을 써왔다. 약자와 소수자들의 자기 언어 찾기에 관심을 갖고 글쓰기 워크숍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인간의 두얼굴』, 『아홉 개의 발자국』(공저), 『왓더북』(공저) 등이 있다.
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