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구독 신청
닫기
구독신청
메뉴바
vol.11 2017. 2 로고

예술인복지뉴스

기획 예술인과 집, 주거복지를 말하다

국내 사례: 만리동 ‘막쿱’, 삼선동 ‘연극인의 집’

2017. 2
만리동 예술인주택협동조합 막쿱(M.A.Coop) 만리동 예술인주택협동조합 막쿱(M.A.Coop) 이미지 출처: 막쿱 페이스북 www.facebook.com/macoop.kr

만리동 예술인협동조합형 공공주택(Mallidong Artists Cooperative, M.A.Coop, 이하 막쿱)은 2013년 서울시와 SH공사가 설립한 예술인 공공주택이다. 막쿱은 미술, 설치, 건축, 영화, 영상, 연극, 문학, 출판, 음악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예술인 집단 주거단지로 1인 가구 1개동과 다인 가구 2개동 총 29세대 규모의 공간이다. 예술인 특성에 맞춰 공동작업장, 공용공간인 ‘커뮤니티룸’ 등을 갖추고 있으며, 예술인들이 모인 공간인 만큼 예술협업과 지역사회에 대한 공헌을 지향하고 있다. 건물 전체가 공연장이자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며, 최근에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연극 〈아임 언 아티스트(I'm un Artist, 나는 예술가가 아니다)〉 공연이 개최되기도 했다.

그 외 예술인 맞춤형 공공주택 배우의집 이미지 출처: 배우의집 홈페이지 www.withsomehaus.com

SH공사는 막쿱을 시작으로 예술인 주택 공급을 더욱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어, 향후 서울시를 중심으로 예술인 맞춤형 공공주택은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현재 서울시 성북구 삼선동 2가에는 39세 미만의 1인 거주 청년연극인이 입주할 수 있는 셰어하우스 형식의 ‘배우의집’(10가구)이 설립되어 2016년 1월 입주를 시작했다. 이외에도 1인가구와 신혼부부를 위한 공간으로 구성된 삼선동 3가의 ‘연극인 맞춤형 공공임대주택’(11가구), 1인 가구부터 3인 이상 가구까지 거주할 수 있는 정릉동의 ‘예술인 공공주택’(19가구)이 건립중이며 입주자 모집까지 마무리한 상황이다.
이들 주택은 예술인에게 안정된 주거환경을 제공하는 것뿐 아니라 공통 분야에 종사하는 입주자 간 커뮤니티 활성화를 통해 주거문화의 질을 높이는 것까지를 목적으로 한다. 연극인 맞춤형 공공임대주택의 경우 지하 연습 공간과 1층 커뮤니티 공간을 갖추고 있으며, 연극 분야에 종사하며 2년간 4개 작품 이상을 한 연극인을 입주대상으로 정하고 있다.

레지던시: 예술인을 위한 창작공간

예술인 복지를 목적으로 시작된 사업은 아니지만, 창작공간지원 사업은 넓은 의미에서 예술인 주거복지 증진 사업으로 볼 수 있다. 창작스튜디오는 작가들에게 ‘창작에 몰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기숙사를 겸비한 아카데미’이자 ‘무료 또는 실비로 제공되는, 마음 놓고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레지던시 프로그램, 창작레지던스, 창작실, 창작소, 창작공간, 작업실, 연습실, 공방, 예술촌, 예술마을 등 다양한 용어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 양건열(2004), 미술창작스튜디오 운영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p. 12
   김연진(2013), 창작스튜디오 현황 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p. 19

기존 레지던시는 시각예술 작가를 위한 공간이 다수였으나 최근에는 문학, 공연, 영화 등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이 이용할 수 있는 공간들도 늘어나고 있으며 작업공간과 생활공간뿐 아니라 전시공간, 작업을 위한 각종 장비와 멘토링 등 제공하는 서비스도 다각화되고 있다. 단, 공간마다 수용 인원이 한정적이고, 입주 기간이 1년 이내인 경우가 대부분이라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주거공간으로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한편, 레지던시는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폭넓게 마련되어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해외예술지원정보 DB(online.arko.or.kr)에서는 해외 레지던시 정보를 번역하여 제공한다.

지역별 주요 창작공간*
지역 창작공간
서울 서울문화재단(서울무용센터, 연희문학창작촌, 서교예술실험센터, 문래예술공장, 서서울예술교육센터, 금천예술공장, 관악어린이창작놀이터, 남산예술센터, 남산창작센터, 서울예술치유허브, 신당창작아케이드, 서울연극센터, 잠실창작스튜디오, 대학로연습실, 서울거리예술창작센터), 국립현대미술관 창동레지던시, 서울시립미술관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서울디자인재단 서울패션창작스튜디오, 서울 영상위원회(SFC) 서울 DMC 영화창작공간, CJ E&M 오펜(준비중)
인천 인천문화재단 인천아트플랫폼, 스페이스 빔
대구 대구문화재단(대구예술발전소, 가창창작스튜디오, 범어아트스트리트, 대구공연예술연습공간), 한국패션산업연구원 크레이티브 디자인 스튜디오, 대구 미술광장 창작스튜디오, 박달예술인촌, 대구시 청년예술창작공간(준비중)
부산 부산문화재단(원도심창작공간 또따또가, 홍티아트센터, 감만창의문화촌, 부산공연예술연습공간), 민락인디트레이닝센터, 부평아트스페이스, 서동예술창작공간, 오픈스페이스배, 예술지구_p, 복병산 창작여관, 부산패션창작스튜디오
울산 (사)모하 창작스튜디오, 북구예술창작소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아시아창작스튜디오, 창제작센터 레지던시), 광주문화재단 빛고을아트스페이스, 의재 창작스튜디오, 바림 레지던시
대전 대전문화재단 대전테미예술창작센터, 대전시립미술관 대전창작센터
경기 경기문화재단 경기창작센터, 국립현대미술관 고양 레지던시, 커뮤니티스페이스리트머스, 행궁마을커뮤니티아트센터, 금호창작스튜디오, 영은미술창작스튜디오, 스튜디오 박영 프로그램, 포천아트밸리 예술창작 스튜디오, 메이크샵아트스페이스, 경기패션창작스튜디오
강원 국제 하슬라 레지던시, 창작공간 아르숲, 강릉예술창작인촌, 삼탄아트마인 아트레지던시, 강릉 제비리 미술인촌, 문화공간 예술텃밭 공연예술 레지던시, 토지문화관 문인 및 예술인 창작실, 후용아트빌리지, 감자꽃스튜디오, 노림스튜디오, 태백탄광문화연구소-Bow, 분홍공장, 송계아트스튜디오, 창작 스튜디오 프로젝트 미터
충남 야투 자연미술 국제레지던스, 서산창작예술촌, 모산조형미술관 WCAS 레지던스, 홍성문학관, 아미미술관 에꼴드아미
충북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시립미술관, 마동창작마을, 자계예술촌 예술인 창작 레지던시
전남 대담미술관, 잠월미술관 레지던스, 도화헌 미술관, 화순 경복미술문화원, 상상문화발전소1839, 목포아트센터, 예술공간 돈키호테
전북 오궁리 미술촌, 전주공연예술연습공간, 익산 창작스튜디오, 팔복예술공장, 공동창조공간 누에
경남 경남예술창작센터,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 세라믹창작센터, 구복창작스튜디오, 마산아트센터 창작스튜디오, 아츠풀 삼진미술관, 정수예인촌
경북 금수문화예술마을, 상주예술촌
제주 제주현대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아트창고(ARTBARN-덕평로 383 프로젝트), 문화공간 양, 가시리 예술인 창작지원센터, 재주도좋아

* 김연진(2013), 창작스튜디오 현황 조사 및 지원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위의 책, p. 42~48, "문화예술 창작공간“, 부산일보, 2014.10.14 등을 참고하여 재구성

집중기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