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 로고 예술인 로고 모바일 예술인 로고 모바일

vol.64

2023. 12

menu menu_close menu_close_b
구독 신청
닫기
구독신청
대화
신체의 장애는 예술의 장애가 되지 않아요
〈라움콘〉 이기언, 송지은


이기언 씨는 2013년부터 한국예술인복지재단(이하 ‘재단’)에 근무하며 예술인 파견지원-예술로 사업을 초기부터 담당해왔다. 그런 그가 2018년 10월 갑작스럽게 뇌출혈로 쓰러지면서 신체적 장애를 가지게 되었다. 이기언, 송지은 부부는 변화한 몸과 삶에 좌절하지 않고, ‘예술’이란 창의적인 활동으로 새로운 삶을 긍정한다. 이기언 씨는 4년간의 재활 끝에 2022년 9월, 재단에 복직했고, 부부는 ‘라움콘’이란 이름으로 다양한 예술활동을 선보이고 있다.





안녕하세요. 라움콘은 어떤 팀인가요?

송지은 : 라움콘은 예술 행정가로 활동해온 이기언과 대안 예술 공간을 운영하는 등 기획자이자 예술인으로 활동해온 송지은이 갑작스럽게 겪은 몸의 변화, 삶의 변화를 기반으로 정상성에 대해 질문하고 몸에 대한 다양한 고민을 하며 창작활동을 펼치고 있는 아티스트 듀오입니다. 기언 씨가 뇌출혈로 쓰러졌다가 깨어나면서 처음 한 말이 ‘라움콘’이란 단어였습니다. 무슨 말인지 몰라서 찾아봤는데 나오지를 않더라고요. 보디랭귀지를 통해서 양치질을 가리킨다는 걸 겨우 알아챘죠. 기언 씨는 뇌의 베르니케 영역에 손상을 입어 ‘베르니케 실어증’을 겪고 있는데요, 특징이 아무도 못 알아듣는 신조어를 만드는 거예요. 그 증상으로 ‘라움콘’이란 신조어를 만든 거죠. 그 단어가 너무 경이롭게 느껴져서 적어두었던 것이 현재 저희의 팀명이 되었습니다. 현재 이기언 작가님은 ‘Q레이터’라는 이름으로 활동 중이고요.

신체적 장애가 어떻게 작업으로 이어지게 됐는지 궁금합니다.

송지은 : Q레이터 님이 쓰러진 후 다른 몸의 상태를 경험하며, 저 역시도 삶의 큰 변화를 겪게 되었어요. 변화한 삶 속에서 경험하는 불편함, 꼬집고 싶은 것들을 자연스럽게 예술로 이야기하게 된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Q레이터 님의 걸음걸이는 이전과 달라졌어요. 재활을 하는데, 여기서 재활의 의미는 최대한 사고 전과 같이 ‘정상적으로’ 활동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거든요. 저희는 서로에게 물었어요. 어떻게 걷는 것이 ‘정상’이냐고요. 그러면서 정상성에 대해 고민하는 거죠. 밥 먹을 때도 한 손밖에 쓰지 못하니까 다른 방법을 찾으면서 다양한 몸에 대해 생각하게 됐고요.

Q레이터 님이 마흔에 쓰러졌는데, 80세까지 산다고 가정하면 인생의 반은 한국 사회가 규정하는 정상성의 범주 안에서 안정적인 직업과 스탠다드한 라이프로 살아왔고, 이제는 조금 다른 삶을 살아보는 거잖아요. 다른 몸으로 삶을 경험하는 자체가 굉장히 값진 거라고 생각해요. 무엇보다 Q레이터 님에게 생긴 장애는 ‘생존했다’는 증거거든요. 그동안 굉장히 위험한 순간도 많았고 고비도 많이 넘겼는데, 그런 순간을 거쳐 온 것이 뇌병변이라는 장애의 흔적으로 남아 있는 거죠. 현대 사회에서 말하는 장애이지만, 저희에게는 생존의 흔적, 살아 있다는 증거인 거예요. 그래서 우리의 변화를 부끄러워하면서 숨기기보다는 예술이라는 방식으로 세상에 내보내게 됐어요. 만약 저희가 예술에 대한 이해가 없었다면, 그래서 창작활동으로 이어가지 못했다면 버티기 힘들었을 거라고 생각해요. 예술 덕분에 창의적으로 그 시간들을 보낼 수 있었습니다.

▲ 라움콘이 진행한 프로젝트. (왼쪽부터) 다시 걷는 노-하우, 1+1=1.5, 한 손 One hands


라움콘은 어떤 작업들을 선보이고 있나요?

송지은 : 크게는 3개의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첫 작업은 ‘다시 걷는 노하우’라고 PVC 비닐로 만든 옷을 입고 울퉁불퉁한 도시의 길을 걸어가는 작업인데요. 걷는 것이 불안정하니까 도시 환경 안에서 스스로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걷기 위해 거대한 에어캡 같은 옷을 입고 걷는 거예요. 두 번째로는 ‘1+1=1.5’라는 작업입니다. 비가 오면 Q레이터 님은 한 손으로 우산을 쓸 수 없어요. 제가 우산을 씌어주면 저도 비를 많이 맞게 되거든요. 이런 경험을 바탕으로 두 사람이 같이 입는 우비를 만들었어요. 이 두 작업은 실용성을 고려했다기보다는 각기 다른 상황 속에서 ‘접근성’은 어떻게 가능해질 수 있는지 탐구한 작업들이에요.

그 다음으로는 Q레이터 님이 한 손만 쓸 수 있게 되면서 사물에 대한 접근성이 굉장히 많이 떨어졌어요. 대부분의 사물은 양손 위주로 고안되어 있어서 한 손으로 생활하는 것은 생경한 경험이더라고요. 다양한 몸이 세상을 살아간다고 했을 때 옷의 사이즈가 다양하듯 사물 역시 다양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한 손으로 낄 수 있는 장갑, 한 손으로도 남김없이 먹을 수 있는 그릇, 먹는 방향이 바뀌어도 불안정하지 않게 사용할 수 있는 커트러리 등을 만든 ‘한 손 One hands’라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현재는 언어에 대한 고민으로 시작한 ‘집을 잃어버린 남자’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청각 장애는 아니지만 현재 Q레이터 님은 소리가 웅웅거리거나 혹은 웅얼거리게 들리는 언어 장애가 있거든요. 그걸 작곡으로 표현하는 작업과 미디어 인터렉션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디어 인터렉션은 인터렉티브가 안 되는 인터렉티브에 초점을 맞춰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울림만 있다면〉이란 작곡은 내년 1월에 발표할 예정입니다.



Q레이터 님은 2013년부터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서 일하셨는데요, 이전에는 어떤 업무를 담당하셨나요?

이기언: 쓰러지기 전에는 예술로 사업을 담당했습니다. 사업 초기부터 해온 일이라 애착이 많았습니다. 제가 쓰러졌는데 사업이 잘 되고 있는지 너무 걱정이 됐어요. 병원에서 매일 걱정했습니다.

송지은 : Q레이터 님은 예술 행정가로서 예술가들을 만나고 그들을 지원하는 삶 자체를 굉장히 좋아했던 사람이에요. 어떤 작가가 그러더라고요. 대한민국에서 전시를 제일 많이 보는 사람이라고요. 예술인들이 있는 자리라면 항상 가 있는 사람이었어요.

재단으로 복귀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었을 것 같습니다.

송지은 : 노동력을 기준으로 따져보면 Q레이터 님의 노동력은 20~25% 정도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과연 복직을 할 수 있을까 싶었고, 다시 일할 수 있겠냐는 질문을 많이 했어요. 더 이상 그 질문을 안 하게 된 계기가 있는데 저에게 이런 이야기를 하는 거예요.

“그래, 내 노동력이 20%밖에 안 남았어. 그런데 그 20%를 가지고 20년을 일하면 어떻게 될 것 같아?”

스스로에 대한 믿음이 있구나 싶더라고요. 2022년 9월에 복귀했는데 실제로도 업무능력이 많이 향상됐다고 하시더라고요. 20%의 노동력이더라도 지속적으로 노력한다면 얼마나 성장할 수 있는지 증명하는 중인 것 같아요.

라움콘이 앞으로 어떤 작업을 이어갈지 궁금합니다.

송지은 : 우리는 서로를 장애, 비장애로 구분하는데, 다양한 형태의 삶이 있다는 걸 알면 이런 구분은 무의미해진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다양한 몸, 다양한 형태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고요. 사회가 규정짓는 정상성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작업을 계속 이어가고 싶습니다. 나아가 관객이 참여하는 작업도 생각해보고 있어요. 참여를 통해 다양한 관계를 어떻게 이해하고 다뤄야 하는지 깨닫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무엇보다 삶이 변화해도 하고 싶은 게 있다면 저희처럼 지속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재단에서도 하고 싶은 일이 있을 것 같아요.

이기언 : 현재는 할 수 있는 게 많지는 않지만 언젠가는 할 수 있는 일이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지금은 못하지만 다시 예술인들을 만나고 응원하고 싶어요. 또 지금처럼 일하고 활동을 이어가는 것 자체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하고요.

송지은 : Q레이터 님이 일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재단이 다양성을 포용할 수 있는 곳이라는 증거가 되었다고 생각해요. 다양한 예술인이 재단에 방문할 텐데 Q레이터 님의 존재만으로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싶고요. 예술인 복지에는 당연히 장애 예술인의 복지도 포함되는데 Q레이터 님이 장애 예술인을 직접 상담해주는 등 재단 내에서 할 수 있는 역할이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